![]() |
| 출처 : IBK행복나눔재단 |
IBK행복나눔재단이 최근 치료비 지원 사업에 ‘노인성 치매’를 새롭게 포함시켰습니다. 중소기업 근로자 가족 중 노인성 치매로 투병 중인 부모를 부양하거나 돌보는 경우, 치료비 부담을 덜어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가 확대된 것입니다. 기존 희귀·난치·중증질환에 국한되던 지원 범위가 확대됨으로써 치매 환자 또는 그 가족에게도 문턱이 한층 낮아졌습니다.
✅ 신청 방법
첫째, 신청 자격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중소기업 근로자이거나 근로자 가족이어야 하며, 노인성 치매 환자의 치료비가 지원 대상에 포함된 시점 이후 투병이 확인되는 경우여야 합니다. 재단 웹사이트 또는 주민센터에서 제공되는 진단서 등의 의료 서류가 필요합니다.
둘째, 필요한 서류를 준비합니다. 일반적으로 진단서 원본, 최근 치료비 영수증, 건강보험 납부확인서, 소득 증빙 서류(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또는 사업소득 증명), 가족관계증명서 등이 요구됩니다. 치매 환자의 경우 진단 시점 및 상태를 명확히 하는 자료가 중요합니다.
셋째, 신청 절차입니다. 온라인 접수를 원칙으로 하며, IBK행복나눔재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치료비 지원 신청 양식을 작성해 제출합니다. 오프라인 접수 또는 우편 접수 가능 여부는 공고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공지사항을 확인해야 합니다. 접수 마감일이 있으니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대상 조건
지원 대상은 다음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중소기업 근로자 또는 그 가족(배우자·부모 등), 국내 거주자이며 소득 조건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가 많습니다. 노인성 치매 진단을 받은 경우, 진단서 상 치매 종류 및 상태가 공식적으로 인정된 의료기관에서 발급된 것이어야 합니다.
예외 사항도 존재합니다. 대기업 근로자, 공공기관 직원은 제외될 수 있고, 이미 유사한 치료비 지원을 받고 있는 경우 중복 혜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소득 기준, 진단 시점, 치료 종류 등이 지원 대상 명세서에 따라 달라지므로 공고 전문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항목 | 기준/조건 | 비고 |
|---|---|---|
| 근로자 유형 | 중소기업 근로자 또는 그 가족 | 배우자·부모 포함 |
| 소득 기준 | 공고 시점의 소득 하위 기준 (예: 연소득 7,000만 원 이하 등) | 증빙서류 필요 |
| 치매 진단 | 노인성 치매 진단서, 공식 의료기관 승인 | 진단명·진단일자 포함 |
| 치료비 종류 | 노인성 치매 치료 관련 비용 (의료비, 약제비 등) | 공식 영수증 및 처방전 필요 |
| 중복 지원 배제 | 기타 치료비 지원금(공공기관·보험 등)과 중복 여부 확인 | 이미 받은 지원 내역 제출 필요 |
✅ 지급 금액
지급 금액은 지원 대상자의 치료비 전체 또는 일부를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노인성 치매’가 포함되면서, 치매 치료 관련 약제비, 재활치료비, 병원 진료비 등이 치료비 지원 범위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치료비 지원 한도가 공고마다 상이하며, 연간 혹은 회당 최대액이 정해져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IBK행복나눔재단 치료비 지원 사업에서는 치료비 지원 한도를 “1,500만 원”까지로 정한 바 있습니다. 동일하게 노인성 치매 치료비도 이 범위 내에서 지원될 가능성이 큽니다. 단, 전체 의료비가 한도를 초과하면 본인 부담액이 발생합니다.
| 항목 | 내용 | 예시 금액 |
|---|---|---|
| 지원 범위 | 치료비 전반 (진료비, 약제비, 재활치료비 등) | 공식 영수증 기반 |
| 최대 한도 | 공고별로 정해짐 | 예: 1,500만 원 내외 |
| 본인 부담 | 치료비가 한도 초과 시 초과분 부담 | 한도 내 비용 전액 지급 아님 |
✅ 유효기간
지원 사업은 접수 기간 내에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접수 일정은 9월8일(월)~9월30일(화)까지 입니다.마감일 이후에는 접수가 불가능하므로 신청 일정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지원금 집행 및 사업 종료 시점까지 진단 및 치료가 확정돼야 합니다. 치료비 발생 시점이 지원 사업 기간 이전일 경우 소급 적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 만료 후 연장 여부, 다음 사업 공고 여부는 재단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확인 방법
신청 접수 후에는 접수번호 또는 신청 ID가 부여됩니다. 온라인 시스템에서 접수 상태(예: 접수완료 → 서류 검토 중 → 지원 확정 등)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 통보는 이메일 또는 우편, 또는 재단 홈페이지 공지로 이루어집니다.
서류 보완 요청이 있을 경우 지정된 기한 내에 보완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신청이 반려될 수 있습니다. 신청인의 연락처 정보가 최신인지 확인해 두세요.
지원금 지급은 승인 후 일정 기간 내에 지정 계좌로 송금되거나 병원/치료기관에 직접 비용 지불 형식일 수 있으므로 지급 방식도 공고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 Q&A
Q1: 노인성 치매 진단 시점이 사업 공고 이전이라면 지원 가능한가요?
지원 공고 전에 이미 진단을 받은 경우에도, 치료비 지출이 공고 기간 내에 발생한
비용이라면 일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단, 진단서 및 진료 기록이 명확해야 하며,
공고마다 이 부분의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니 공고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Q2: 다른 치료비 지원사업과 중복해서 받을 수 있나요?
공공 의료보험, 지자체 혹은 다른 복지기관에서 지원받는 치료비가 있다면,
재단에서는 중복지원을 제한하거나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미 받은 금액 및 지원
경로를 신청서에 명확히 기재해야 하며, 재단이 내부 기준에 따라 조정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Q3: 치료비 외에 치매 환자 돌봄비나 간병비도 지원 대상인가요?
현재 공고된 내용에서는 주로 의료비(진료비·약제비 등)를 중심으로 지원되며,
돌봄비나 간병비는 포함 여부가 공고별로 다르므로, 해당 공고문에서 ‘치료비 범위’
항목을 확인해야 합니다.
![[중소기업 근로자] 노인성 치매 치료비 지원 신청방법·대상·금액 총정리 [중소기업 근로자] 노인성 치매 치료비 지원 신청방법·대상·금액 총정리](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gIeFryAhhG_f4K3800kYYGRlzL4rXezKoqYviyGGj6RGTRLNWOAXv0c6DeX5k7tPV1BjFyxl7CPGenI6jr1dkTOm9-IO_cSh7JNM749dG78UOjOaaR7C4RGr-md1uaIFLPik8zedwGxkywMBuZcrj0jlL2dxi9h3stPGII3sGzpN8KmRrEMC0dY10tqbw/w400-h400-rw/2025%20%ED%95%98%EB%B0%98%EA%B8%B0%20IBK%EC%B9%98%EB%A3%8C%EB%B9%84%20%EC%8B%A0%EC%B2%AD%EC%84%9C%20%EB%B0%94%EB%A1%9C%EA%B0%80%EA%B8%B0.jpg)

